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창업과외③] AI는 어떻게 사업계획서를 도와줄 수 있는가?
    창업학개론 2025. 4. 30. 08:40
    반응형

    이제는 누구나 AI를 통해 글을 쓰고, 정보를 찾고, 심지어 분석까지 하는 시대입니다. 그렇다면 정부지원사업에 필요한 사업계획서 작성에도 AI를 활용할 수 있을까요?

    답은 “충분히 가능하다”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계획서를 써줘”라고 AI에게 명령한다고 해서 당선되는 문서가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 장에서는 AI가 어떤 부분에서 실제로 유용한지, 어떻게 접근하면 되는지 실전적인 관점에서 소개합니다.


    사업계획서 작성, 왜 어려운가?

    많은 창업자나 소상공인들이 사업계획서를 쓰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막막함: 어떤 항목에 어떤 내용을 써야 하는지 감이 없다.
    2. 표현력 부족: 머릿속에 있는 아이디어를 글로 풀어내기 어렵다.
    3. 시간 부족: 본업에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계획서에 집중할 여력이 없다.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의 창업자나 초기 기업이 겪는 공통된 어려움입니다. 이때 AI는 작문 보조자이자 정리 도구, 요약기계, 창의적 제안자로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AI가 잘할 수 있는 5가지 영역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AI가 특히 강점을 보이는 다섯 가지 영역이 있습니다.

    1. 아이디어 정리 및 사업 요약

    • “이 사업의 핵심이 뭐지?”라는 질문에 명확히 답하기 어려울 때, AI에게 먼저 요약을 요청해보세요.
    • 예시: “온라인 반찬 구독 서비스를 설명하는 3줄짜리 사업 개요를 써줘.”
    • AI는 핵심을 요약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보이며, 다양한 버전으로 표현을 바꿔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2. 시장 및 경쟁사 분석

    • AI는 최신 시장 트렌드나 경쟁사 분석 보고서를 스스로 만들지는 못하지만, 온라인에 공개된 정보를 요약하거나, 특정 키워드에 대한 개요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 예시: “2024년 국내 반찬 구독 서비스 시장 트렌드를 요약해줘.”

    3. 고객 문제 정의 및 솔루션 정리

    • 사업계획의 핵심은 "누구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입니다.
    • AI는 문제-원인-해결책 구조로 정리를 도와주며, 고객 페르소나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예시: “30대 직장인 여성 대상 도시락 서비스 고객 페르소나를 만들어줘.”

    4. 수익모델 및 비즈니스모델 설계

    • 간단한 비즈니스모델 캔버스(BMC)도 AI와 함께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예시: “도시락 정기구독 서비스의 수익구조와 주요 자원을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형태로 정리해줘.”

    5. 문장 다듬기와 설득력 강화

    • 초안은 직접 작성하되, 표현이나 어조를 더 세련되게 만드는 데 AI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이 문장을 더 설득력 있게 바꿔줘” / “공공기관 사업계획서 스타일로 수정해줘”

    AI를 쓸 때 꼭 알아야 할 3가지 주의사항

    1. 팩트 검증은 반드시 사람이 해야 한다.
      • AI는 창의적으로 문장을 만들어내지만, 데이터나 수치의 정확도는 항상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2. 심사위원을 위한 시선으로 편집하라.
      • AI는 일반적인 문장 생성에 강하지만, 심사 기준과 평가 항목에 맞춘 문서 구조는 사람이 설계해야 합니다.
    3. AI는 글쓰기 도우미일 뿐, 전략가는 아니다.
      • AI는 창업자의 의도를 정리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그 사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는 결국 창업자 본인이 정해야 합니다.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까?

    AI를 처음 활용하는 분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추천합니다.

    1. 아이디어 요약부터 시작하라: 사업의 핵심을 3줄로 정리해보자.
    2. 시장 트렌드 키워드 입력해보기: 해당 분야의 최신 동향을 물어보자.
    3. 경쟁사 분석 질문 던져보기: 경쟁사와의 차별점을 정리해달라고 해보자.
    4. AI가 쓴 문장 vs 내가 쓴 문장 비교: 어떤 문장이 더 설득력 있는지 비교해보자.
    5. AI가 만든 문서에도 ‘내 생각’을 덧붙이라: 자동 생성된 문장은 시작일 뿐, 당신의 진심과 전략이 들어가야 문서가 살아난다.

    마무리: AI는 도구, 전략은 당신 몫

    AI는 글을 써주는 존재가 아니라, 당신의 생각을 정리해주는 똑똑한 도우미입니다.
    정부지원사업에 도전할 때, 이 도구를 잘 활용한다면 더 짧은 시간에 더 높은 완성도의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향은 여전히 당신이 잡아야 합니다.

    다음 장에서는 AI를 활용하여 사업 아이템을 구체화하고, 고객의 문제를 설계하는 방법을 실전 예시와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