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창업학 개론④] 창업 아이디어, 어떻게 떠올리고 검증할까?
    창업학개론 2025. 4. 17. 08:01
    반응형

    성공한 창업자들이 공통으로 하는 방법

     


    좋은 아이디어가 없어요…” 창업자들의 가장 흔한 고민

    창업을 하고 싶지만, 어떤 아이템으로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고민, 해본 적 있으시죠?
    혹은 이거 정말 괜찮은 아이디어 같은데...”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막상 주변 반응은 시큰둥했던 경험도 있을 겁니다.

    창업의 시작은 좋은 아이디어에서 출발하는 것 같지만, 진짜 중요한 건 그 아이디어가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느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창업 아이디어를 어떻게 발굴하고, 어떻게 검증해야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지를 알려드릴게요.


    좋은 창업 아이디어는 '문제'에서 출발한다

    창업 아이디어는 기발함보다 문제 해결력이 중요합니다.
    실리콘밸리의 창업 지원 조직인 Y-Combinator의 공동 창립자 폴 그레이엄은 이렇게 말했죠.

    훌륭한 아이디어란 사람들이 말은 안 하지만 속으로는 절실하게 원하고 있는 것을 해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볼까요?

    • 당근마켓은 믿을 수 있는 동네 거래가 어려운 문제에서 출발했습니다.
    • 배달의민족은 전화 주문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 뱅크샐러드는 흩어진 개인 금융 정보를 통합하고 싶다는 욕구에 착안했습니다.

    이처럼 좋은 창업 아이디어는 대부분, 불편한 일상에서 시작됩니다.


    창업 아이디어 발굴법: 생각보다 다양하다!

    막연한 상상만으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건 쉽지 않죠. 다행히,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도구들이 있습니다.

     

    1.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

    고객의 삶을 깊이 공감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 공감(Empathize): 고객을 관찰하고 인터뷰하며 감정을 이해
    • 문제 정의(Define): 고객이 진짜 겪고 있는 문제를 명확히
    • 아이디어 도출(Ideate): 다양한 해결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산
    • 시제품 제작(Prototype): 실제처럼 보이게 만들기
    • 테스트(Test): 고객 반응을 확인하고 수정

    2. SCAMPER 기법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를 다양한 방향으로 재구성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기법입니다.

    • Substitute: 다른 재료나 사람으로 대체한다면?
    • Combine: 두 가지 제품을 결합하면?
    • Adapt: 다른 분야의 요소를 적용한다면?
    • Modify: 형태나 기능을 바꿔본다면?
    • Put to another use: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까?
    • Eliminate: 없애면 더 좋지 않을까?
    • Reverse/Rearrange: 순서를 바꾸면 어떨까?

    3. 브레인스토밍

    팀이 함께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평가 없이 모으는 창의 발산 방법입니다.
    좋은 아이디어는 평범한 생각에서 파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양이 질을 만든다는 자세로 접근해보세요.


    이 아이디어, 진짜 먹힐까?” 검증 없이는 착각일 뿐

    아이디어가 아무리 좋아 보여도 실제 고객이 공감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입니다.
    그래서 반드시 검증이 필요하죠.

     

    1. 고객 인터뷰

    고객을 직접 만나 이렇게 질문해 보세요:

    • 이와 비슷한 문제를 겪은 적 있나요?
    • 현재는 어떻게 해결하고 있나요?
    • 이 서비스를 돈 주고 사용할 의향이 있나요?

    고객의 감정, 표현, 망설임 속에서 진짜 니즈가 보입니다.

     

    2. 온라인 설문 및 SNS 리서치

    Google Form, 인스타그램 투표, 오픈채팅방 등에서 빠르게 의견을 수집해보세요.
    질문은 가볍되, 얻는 인사이트는 진지해야 합니다.

     

    3. MVP(Minimum Viable Product)

    핵심 기능만 구현된 최소 기능 제품을 만들어 테스트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예약 기능만 구현해 보고 사용자가 실제로 결제까지 이어지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죠.

    가장 확실한 검증은, 고객이 직접 결제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4. 프리토타입(Pretotype)

    MVP보다 더 간단한 형태로, 고객의 관심반응만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
    : 가짜 랜딩페이지, 서비스 설명 영상, 시뮬레이션 화면 등


    [사례 분석] 아이디어에서 검증까지, 어떻게 했을까?

    💡 배달의민족

    초기엔 한식 배달 앱으로 테스트 실제 사용자 반응 확인 카테고리 확장

     

    💡 뱅크샐러드

    구글 설문 재무 관련 관심 많은 타겟 세그먼트 분석 → MVP 앱 출시

     

    💡 당근마켓

    소규모 지역에서 MVP 테스트 지역 인증 기반 커뮤니티 기능 강화 전국 확장

    이들 모두 공통적으로, 아이디어를 곧장 실행하지 않고 검증부터 시작했습니다.


    [실습 가이드] 내 아이디어,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1. 창업 아이디어 노트 쓰기
    2. 인터뷰 모의 실습
    3. SCAMPER로 기존 제품 리디자인

    마무리하며: 창업은 문제를 사랑하는 과정이다

    창업 아이디어는 대박 생각이 아니라,
    고객의 불편을 사랑하고,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출발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기억하세요.
    아이디어는 검증하지 않으면 그냥 착각이다.”

    다음 편에서는 이렇게 도출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비즈니스 모델로 어떻게 구체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안내해드릴게요. ‘돈이 되는 구조를 만들고 싶다면 꼭 함께하세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